작년소득 증빙위해 프리랜서가 종소세 신고 할때, 회사가 입을 불이익

작년 소득을 증빙하기 위해 본인이 직접 종합소득세 신고를 할 경우, 회사 입장에서 불이익이 있을 수 있나?

1. 프리랜서 소득 신고 시 회사의 영향

회사는 프리랜서(사업소득자)에게 3.3% 원천징수를 하고 매월 세금 신고를 해야 하지만, 하지 않은 상태.. 따라서 프리랜서 개인이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면 회사에도 약간의 영향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가능한 회사의 불이익:

미신고한 소득이 세무서에 노출될 가능성
→ 프리랜서 지급 내역을 신고하지 않았다면, 국세청이 회사에 추가 자료 요청을 할 수도 있음.

가산세 발생 가능성
→ 원래 원천징수를 했어야 하지만 신고하지 않았다면, 회사가 가산세를 물 수 있음.

필요경비 처리가 어려울 수도 있음
→ 회사가 소득 지급을 신고하지 않았다면, 비용 처리를 못 해 세무상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그러나 이미 회사는 프리랜서 비용만큼 다른형태로 비용처리를 했을 확률이 높음)


2. 그럼 회사와 어떻게 조율하면 좋을까?

회사에 "소득 지급 확인서" 요청하기
→ 3.3% 공제 없이 지급된 소득이라도 회사가 인정해주는 형태로 증빙하면 신고가 가능함.

회사와 협의 후 '추가 지급 명목'으로 신고할 수 있는지 확인
→ 간혹 회사에서 후처리 방식으로 세금 신고를 해주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 보는 것도 방법.

세무사 상담 후 신고 방식 조정하기
→ 소득을 **'기타소득' 또는 '사업소득'**으로 신고하면 회사 부담을 줄일 수도 있음.


3. 결론 – 회사에 큰 불이익이 있을까?

원칙적으로 회사는 세금 신고를 누락한 상태이므로, 국세청에서 확인 요청이 들어오면 일부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하지만 개인이 직접 종소세 신고하는 것 자체는 회사의 세금 부담을 늘리는 행위는 아님. 다만, 과거 소득 지급 내역이 드러나면서 회사가 세무조사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음.


👉 따라서, 회사와 먼저 협의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혹시 회사에서 협조가 어렵다면, **본인이 직접 신고할 때 회사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법(기타소득 신고 등)**을 세무사와 상담해 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