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사기 확인하는 방법
1️⃣ "기대출 과다인데 자체상품으로 가능하다"
  금융권(1금융, 2금융)에서 한도가 나오지 않는 상황이라면, 대부중개업체도 정식
  금융권이 아닌 이상 대출을 해주기 어렵습니다.
"자체상품"이라고 하지만,
  대부분
  불법 사채(고금리, 불법 대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신용점수가 낮아 나이스(NICE)와 올크레딧 가입 및 결제 요청"
신용정보 조회를 본인이 직접 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흔한 수법입니다.정상적인 금융사는 고객에게 직접 신용조회 비용을 결제하라고 하지 않습니다.
사기꾼들은 이 정보를 활용해 추가적인 사기를 시도할 가능성이 큽니다.
3️⃣ "출장비 30만 원 요구"
정상적인 금융업체라면 대출 상담에 출장비를 요구하지 않습니다.출장비를 받고 잠적하는 **선수금 사기(컨설팅 사기)**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4️⃣ "대환 대출을 해준다면서 10~15% 수수료 요구"
정상적인 금융권 대출에는 수수료가 발생하지 않습니다.보통 수수료를 요구하는 대출은 불법 브로커(일명 대출 사기단)의 수법입니다.
실제로 대환을 해주지 않고 수수료만 받아 가는 사기일 가능성이 큽니다.
🚨 대출 사기 체크 POINT
  ✔
  정식 등록된 업체라도 불법 행위를 할 수 있음
  ✔
  대출 관련 수수료를 선결제하거나, 대출을 위한 비용(출장비 등)을 요구하면
    100% 사기
  ✔
  신용조회 비용을 고객이 직접 결제하도록 유도하는 것은 매우
    의심스러움
  ✔
  정식 금융사는 절대 대출을 미끼로 수수료를 선결제하라고 하지 않음
✅ 대처 방법
🔹 해당 업체와 더 이상 연락하지 말 것
한 번이라도 비용을 송금하면 돌려받기 어려움.
🔹 이미 돈을 보냈다면 즉시 신고
      경찰(☎ 112) 또는
      금융감독원(☎ 1332,
        www.fss.or.kr)에 신고
특히 선수금 사기는
      금융감독원 및 경찰에서도 적극 단속하는 사기 유형
    
🔹 추가 피해 예방
신용정보(나이스·올크레딧) 조회 시 개인정보 유출 가능성이 있으므로 신용정보 보호 설정을 해두는 것이 좋음불법 대출 업체는 전화번호, 계좌번호 등 개인정보를 수집하여 추가 사기 시도 가능성 있음
Tags:
loan fraud


